본문 바로가기
수능 자료

수능(2024, 2023, 2022) 한국사 핵심 내용 정리

by 서울경 2024. 1. 18.
728x90

수능 한국사(키워드로 정리) (youtube.com)

 

 

 

수능(2024, 2023) 한국사 시대구분

전근대(6문제)

선사시대(구석기-신석기-청동기)와 역사시대(written history, 철기) : 1문제 고대 시대(고조선~통일신라) : 1문제

고려 시대 : 2문제 조선 시대 : 2문제

근현대(근대와 현대, 14문제)

근대(개항~일제강점기) : 10문제(개항 5문제 + 일제강점기 5문제) 현대(815광복 이후) : 4문제

 

<수능(2024, 2023, 2022) 한국사 핵심 내용 정리>

 

전근대 : 선사시대와 역사시대: 1문제고대 시대(고조선~통일신라) : 1문제

 

(2024 수능)

* 청동기 시대: 비파형 동검 제작, 고인돌, 농업 생산량 증가, 계급 발생, 군장이 나타남.

 

* 발해: 주자감(발해의 교육 기관)을 설립. 성왕, 선조성, 정당성, 51562.

- 골품제를 운영(신라) - 부곡소를 설치(통일신라)

 

(2023 수능)

* 신석기 시대: 간석기가 사용되었음. 빗살무늬 토기, 암사동 유적지. 농경과 목축이 시작, 정착 생활

- 비파형 동검이 제작(청동기 시대) - 철제 무기가 보급(철기 시대) - 석굴암 본존 불상(통일 신라 시대)

 

* 발해: 51562주를 두었음. 고구려 유민들 중심. 동모산 아래에서 나라를 세워 진국이라 하였음. 무왕.

- 골품제를 운영(신라)

 

(2022 수능)

* 구석기 시대: 채집과 사냥을 하며 이동 생활. 경기도 연천 전곡리의 주먹도끼(뗀석기의 일종. 손에 쥐고서 무언가를 자르고 찍고 땅을 파는 등.

- 불상을 제작(삼국시대) - 비파형 동검(청동기 시대) - 철제 농기구로 농사를 지음(철기 시대)

- 덩이쇠를 화폐처럼 사용(철기 시대, 가야)

 

* 백제 무령왕릉(벽돌무덤) : 웅진에서 사비로 천도

- 대조영에 의해 건국(발해)

 

* 통일신라: 전국을 95소경 체제로 편성. 녹읍을 폐지(신문왕), 국학 설립

- 평양으로 수도를 옮김(고구려 장수왕)

 

 

전근대 : 고려 시대 : 2문제

 

(2024 수능)

* 고려 태조: 훈요 10조를 남김. 고려 건국, 후삼국 통일, 지방 호족들을 포용하는 정책, 북진 정책을 추진.

- 평양으로 천도(고구려 장수왕) - 고려 광종 : 과거제를 시행, 노비안검법

 

* 고려 후기: 무신정변(이의방, 이고, 정중부. 1170, 의종) 전민변정도감이 설치(원종, 1269)

이성계의 위화도 회군(1388, 우왕)

- 백제 성왕 : 웅진에서 사비로 천도(6세기(538))

 

(2023 수능)

* 고려 광종: 노비안검법이 실시, 과거제 신설(후주 사람인 쌍기의 건의)

- 수선사 결사가 조직(고려 시대 보조국사 지눌)

 

* 고려고종 때 몽골군의 침략: 자국 사신(저고여)의 피살을 구실로 몽골군이 침략. 수도가 강화도로 옮겨짐.

- 대가야가 병합(신라 진흥왕) - 나당 연합군이 결성(648, 신라 김춘추와 당 태종)

 

(2022 수능)

* 고려 성종 : 국자감을 정비하였음. 최승로 시무 28, 12목에 지방관 파견. 유교 정치 이념을 바탕, 통치 체제 강화)

- 대가야를 병합(신라 진흥왕)

 

* 고려 후기: 무신정변의 발생(의종, 정중부, 이의방, 김돈중. 1170)

 

* 고려 시대 원 내정 간섭: 원의 강요로 공녀가 징발되었음. 다루가치. 선지를 왕지로, 짐을 고로, 사를 유로 격을 낮춤.

충렬왕의 복식도 격하하여 자황포를 지황포로 고쳤음.

- 골품제가 실시(신라시대)

 

 

전근대 : 조선 시대 : 2문제

 

(2024 수능)

* 조선 성종(조선 제9대 왕) : 경국대전을 반포하였음. 홍문관 설치, 국조 오례의를간행, 훈구 세력 견제 위해 사림을 적극적으로 등용)

- 대가야를 정복(신라 진흥왕, 6세기(562)) - 노비안검법을 실시(고려 광종)

 

* 조선 정조: 탕평책을 추진하였음. 무예도보통지의 편찬에 참여한 이덕무와 박제가는 규장각, 백동수는 장용영의 인재들.

- 녹읍을 폐지(신라 신문왕)

 

(2023 수능)

* 붕당 정치(조선 선조, 서인(심의겸)과 동인(김효원)의 대립) 조선 숙종: 환국이 일어남(주도 세력 전면 교체) 조선 영조 : 탕평책

- 성왕이 사비로 천도(백제 성왕) - 무신 정권이 성립(1170~ 1270, 무신 세력, 고려) - 위화도 회군이 단행되었음(고려 말, 이성계)

 

* 조선 후기의 경제 상황: 대동법(광해군, 공물을 쌀로써 대신 바치도록 한 조세제도)이 운용되었음. 농업 생산력 증대, 상품 작물의 재배가 성행. 파밭, 마늘밭, 배추밭, 오이밭 등은 10무의 땅에서 얻은 이익이 수백 냥. 수확은 가장 좋은 논과 비교해도 그 이익이 열 갑절(서도의 담배밭, 북도의 삼밭, 한산의 모시밭, 전주의 생강밭, 강진의 고구마밭, 황주의 지황밭). 상평통보가 대규모로 유통(1678(숙종 4))

- 전민변정도감이 설치되었음(고려 후기)

 

(2022 수능)

* 조선 성종: 경국대전을 반포. 집현전을 계승한 홍문관을 설치. 한강가에 독서당을 지음)

- 우산국을 정복(신라 지증왕) - 매소성 전투에서 승리하였다. (신라 문무왕) - 훈요 10조를 남겼음(고려 태조)

 

* 조선 후기의 경제 상황: 근래 전황(錢荒)이 심함. 상평통보 주조. 신해년의 통공. 평시서를 혁파한다면 그 폐단을 제거할 수 있을 것임. 담배를 비롯한 상품 작물이 재배(상품 작물로는 인삼, 담배, 약재 등의 특용 작물. 목화, , 모시 등의 의류 작물)되었음.

- 전시과 제도가 운영(고려시대) - 송의 상인들이 벽란도(개성)에 와서 무역(고려시대)

 

* 전쟁: 임진왜란(1592, 이순신이 한산도 해전에서 승리. 의병장 조헌. 도요토미 히데요시)

- 을지문덕(고구려)이 살수에서 적군(수나라 군대)을 격파 - 서희(고려)가 외교 담판으로 강동 6주 지역을 확보

 

* 실학의 대두와 북학 사상(박제가(청나라의 문물을 배워야 한다고 강조. 북학의), 박지원의 열하일기(중국 연경))

- 선종의 유행과 9산의 성립(신라 말기) - 풍수지리설과 묘청의 서경 천도 운동(고려 인종) - 불교 개혁과 수선사 결사(고려 후기 지눌)

 

 

근대 : 개항(5문제)

 

(2024 수능)

* 조일 수호 조규가 체결(강화도 조약, 1876. 일본 군함 운요호 사건의 영향으로)

- 정동 행성(원의 내정 간섭 기구) 이문소가 폐지(고려 공민왕)- 인조반정(조선 광해군을 몰아내고 능양군을 옹립, 1623)

- 병인양요가 발발(프랑스군이 강화도에 침입, 1866(조선 고종) - 제너럴셔먼호 사건이 발생 : 신미양요, 1871(조선 고종)

 

* 임오군란(1882)의 전개구식 군인들에게 몇 달째 급료도 지불하지 못하였음. 군인들이 궁궐에 들어가 고관들을 살해.

- 북벌 운동의 배경 (조선 효종) - 물산 장려 운동(조만식, 1920년대 초 ~ 1930년대 말, 전국적으로 전개된 경제 자립 운동)의 영향

- 조선 혁명군(1929, 독립운동을 위해 조직)의 활동- 브나로드 운동(1931~ 1934. 일제강점기에 동아일보사가 주축, 농촌 계몽운동)의 결과

 

* 집강소(1894(조선 고종), 동학 농민 운동(전봉준)때 농민군이 전라도 각 고을의 관아에 설치한 민정 기관)를 통해 개혁을 추진

- 원산 총파업(1929)이 일어나는 원인

- 신간회가 조사단을 파견하여 지원(1929년에 광주 학생 항일 운동, 현지에 조사단을 파견. 항일 사회 운동 단체)

- 28 독립 선언(191928일 일본 도쿄. 3·1운동 발단에 직접적인 영향)에 영향을 받아 발생- YH무역 사건 (1979, 박정희 정부)이 계기

 

* 일본이 한국에 황무지 개간권을 요구(보안회(1904), 황무지 개간권 요구를 반대하는 운동(한 뼘의 국토도 외국인에게 내줄 수 없다는 주장))

- 조선 총독부가 토지 조사 사업(1910~1918)을 실시- 회사 설립을 허가제로 하는 회사령이 제정(191012)

- 산미 증식 계획(1920, 일본의 식량 공급기지로 만들기 위해 추진한 쌀 증식정책)이 시행- 암태도 소작 쟁의가 발생 (1923, 농민운동)

 

* 헤이그 특사가 파견되는 원인이 되었음(조선 고종은 일제 침략의 부당성(을사늑약(1905, 대한 제국의 외교권을 박탈)) 만방에 알리고 대한 제국의 독립을 호소하기 위해. 1907)

- 삼별초가 항쟁(1270~ 1273, 고려-몽골 전쟁, 삼별초가 원나라 및 고려 조정에 대한 항쟁)하는 배경

- 비변사가 설치(조선 중·후기 의정부를 대신하여 국정 전반을 총괄)되는 결과

- 임술 농민 봉기(1862, 세도 정치에 따른 삼정의 문란을 견디지 못한 농민들의 봉기)가 일어나는 계기

- 독립문 건립(1896, 서재필이 독립협회를 조직)에 영향

 

 

근대 : 개항(5문제)

 

(2023 수능)

 

* 위정척사 운동의 전개유생들의 국권 수호 운동. 이항로, 최익현의 왜양일체론. 이만손 등 영남의 유생들의 만인소

- 애국 계몽 운동의 내용(1905년 을사늑약 체결 이후 전개된 국권회복운동)- 물산 장려 운동의 영향 (1920년대 초 ~ 1930년대 말, 경제 자립 운동)

- 610만세 운동(조선 순종의 승하를 계기, 1926)의 결과 - 새마을 운동의 목적(박정희 정부, 1970, 범국민적 지역 사회 개발 운동)

 

* 한성 조약이 체결되었음. 조선 고종(1884), 갑신정변(우정총국 개국 축하연에서 변란이 일어남. 김옥균과 박영효)이후 일본과 맺은 조약.

- 녹읍이 폐지(신라 신문왕)- 삼별초가 조직(고려 무신 최씨 정권의 사병으로 존재하던 좌별초·우별초·신의군을 말함)

- 자유시 참변이 발생(1921, 무장 해제를 거부한 독립군이 공격당한 사건) - 삼청 교육대가 운영(전두환 정부)

 

* 경복궁 중건을 추진하였음서원 철폐 정책에서 제외된 47개 중 9. 흥선 대원군이하응(조선 고종의 아버지)

- 시무 28조를 건의(최승로, 고려 성종) - 귀주에서 거란군을 격파(귀주대첩, 고려 현종, 강감찬)

- 삼국사기를 저술(김부식, 고려 인종) - 한인 애국단을 조직(1931, 김구)

 

* 대한매일신보(1904, 베델)등 언론의 지원을 받았음. 국채 보상 운동(1907, 국권 회복을 의도하는 반일 운동, 대구, 국채를 보상)

- 서경 천도를 추진(고려 인종, 묘청과 정지상을 중심)

- 동학 교조의 신원을 요구(1864(조선 고종) , 최제우가 처형당한 뒤, 그의 죄명을 벗기고 교조의 원을 풀어 줌으로써 종교의 자유를 얻기 위해 벌인 운동)

- 일본의 황무지 개간권 요구를 철회시켰음(보안회는 일본이 황무지 개간권을 요구하자 반대 운동을벌여 이를 저지시켰음. 1904)

- 호헌 철폐를 주장(1987, 전두환 정부)

 

* 헤이그 특사 파견의 계기가 되었음(1907, 고종) 을사늑약(1905, 민영환이 조약 체결에 항거하여 자결)

- 조선책략의 영향으로 미국과 체결(조미조약, 1882(조선 고종))

- 집강소가 설치되는 배경(1894년 동학농민운동. 집강소는 민중이 자치와 자립의 민주주의를 실현했던 기구)

- 간도를 청의 영토로 인정(을사늑약 이후, 일본과 청과 체결한 간도 협약. 1909)

- 미군의 대한민국 주둔을 허용(한미상호방위조약, 1953, 이승만 정부)

 

 

근대 : 개항(5문제)

 

(2022 수능)

 

* 조미 수호 통상 조약(1882, 조선 고종 : 최혜국 대우 조항을 포함하였음. 청의 알선으로 서양 국가와 최초로 체결한 조약. 수신사 김홍집의 조선책략)

- 일 전쟁 중에 강제로 체결(한일의정서, 1904)

- 통감부가 설치(을사늑약, 1905, 이토 히로부미) 되는 계기

- 대한 제국 군대의 해산을 규정(한일 신협약, 1907)

- 베트남 전쟁 파병(박정희 정부, 1964)의 배경

 

* 동학 농민운동(전봉준, 조병갑)의 전개 과정을 살펴봄.

- 삼별초의 활동 시기(고려 시대)를 알아봄.

- 정동 행성의 설치(고려 시대) 목적(고려 후기에 원나라가 일본정벌을 위해 고려에 설치)을 파악

- 병자호란(조선 인조 1636, 청나라) 당시 활약한 인물을 조사

- 백두산정계비의 건립(조선 숙종, 청나라, 1712) 계기를 분석

 

* 신민회(1907, 안창호, 이승훈, 윤치호 등) : 대성 학교와 오산 학교를 설립. 신흥 강습소, 태극 서관)

- 단발령의 철회를 요구(을미의병, 1895)

- 어린이날을 제정(방정환, 1922)

- 원산 총파업에 참여(1929)

- 새마을 운동을 전개(박정희 정부, 1970)

 

 

근대 : 일제강점기(5문제)

 

(2024 수능)

 

* 대한인국민회(장인환·전명운에 의한 스티븐스 저격 의거를 계기로 1910년 미국에서 조직되었던 재미 한인 단체. 미주지역 한인의 권익 보호에 힘씀. 만주와 연해주에 지회를 설치하여 독립운동 지원)의 민족 운동

- 대한 자강회(1906, 애국계몽운동 단체)의 국권 수호 운동 - 대한 광복회(1910년대, 독립운동 단체)의 군자금 모금 운동

- 조선 민립 대학 기성회(1922, 이상재와 이승훈 등. 대학 설립을 위한 모금 운동 전개)의 실력 양성 운동

- 조선어 학회(1931, 민간 학술단체)의 민족 문화 수호 운동

 

* 이른바 문화 통치(19193.1 운동(고종의 서거, 민족 자결주의 대두를 배경으로 일어난 운동) 이후 무단 통치의 한계를 느껴 실시한 식민지 통치 정책) 실시의 계기가 되었음.- 만민 공동회(1898, 민중 대회)가 개최되는 배경이 되었음.

- 치안 유지법(1925)에 의해 탄압을 받았음.

- 좌우 합작 위원회(1946, 좌와 우 정치인들이 연합)가 주도하였음. - 한일 협정에 반대(1964, 박정희 정부)

 

* 형평 운동(1923, 백정 차별의 관습을 없애고 평등한 사회만든다는 것이 목적)의 전개 과정을 살펴봄.

- 도병마사(고려전기(성종) 국방 사안을 담당하는 회의기구)의 기능을 찾아봄 - 당백전의 발행(조선 고종, 1866) 계기를 알아봄.

- 새마을 운동(1970, 범국민적 지역사회 개발 운동, 박정희 정부)성과를 분석함.- 518 민주화 운동(1980, 시민들이 신군부에 맞서 싸움) 영향을 조사함

 

* 황국 신민 서사(1937년부터 19458.15 광복 때까지. 조선인들에게 암송을 강요한 맹세문) 암송이 강요됨.

국가 총동원법(전쟁에 필요한 자원을 효율적으로 조달하기 위해 공포한 법령, 1938) 4

- 쌍성총관부(원나라가 설치한 통치기구)가 회복(공민왕) - 호포제가 실시(흥선 대원군)

- 제주 43 사건(1947~ 1954)이 일어남. - 반민족 행위 특별 조사 위원회가 설치(1948~ 1949)

 

* 인도미얀마 전선에 투입되었음. (한국광복군(대한민국임시정부의 군대, 1940)1943년에 연합군과 공동으로 인도와 미얀마 전선에 참전. 미국 전략 정보국(OSS)과 합작하여 국내 진공 계획을 수립)

- 쌍성보 전투(1932, 한국 독립군(지청천)과 중국 의용군인 길림 자위군이 연합)에서 승리하였음. - 인천 상륙 작전(1950915, 맥아더) 전개하였음.

- 조선 고종의 밀명을 받아 조직(독립 의군부, 임병찬, 1912)

- 청산리에서 일본군을 격파(청산리 전투(북로군정서의 김좌진 장군과 대한독립군의 홍범도 장군, 1920))

 

 

근대 : 일제강점기(5문제)

 

(2023 수능)

* 치안 유지법이 제정(1925) : 무단 통치(헌병 경찰제) 문화 통치(3·1 운동 이후 보통 경찰제 시행. 헌병 경찰제 폐지). 일제가 독립운동을 하는 사람들을 처벌하기 위해 치안 유지법(1925)을 제정.

- 독서삼품과가 실시(통일신라시대, 원성왕) - 홍경래의 난(1811(조선 순조, 농민항쟁)

- 국가 재건 최고 회의가 설치(1961) - YH무역 사건이 발생(1979, 박정희 정부)

 

* 신채호의 조선 혁명 선언을 활동 지침으로 삼았음. 의열단(1919. 김익상, 나석주(식산 은행에 폭탄을 던졌음. 동양척식주식회사에 권총을 난사), 김상옥 등)의 목표 : 신채호가 쓴 조선 혁명 선언(1923)에는 의열단의 행동 강령과 개인 폭력 투쟁을 통해 민중 직접 혁명을 달성.

- 임병찬이 고종의 밀명을 받아 조직(대한독립의군부, 1912) - 이인영을 총대장으로 추대(13도 창의군, 1905) - 김규식을 파리 강화회의에 파견(신한청년당, 1919) - 지청천의 지휘하에 쌍성보에서 전투를 벌임(한국 독립군, 1932)

 

*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에 영향을 주었음. 3·1 민족 운동(1919. 탑골 공원. 고종 황제 서거)

- 갑오개혁(1894)이 추진되는 배경 - 을미사변과 단발령을 계기로 일어남. (을미의병, 1895)

- 신간회((1927, 항일단체)의 주도로 전개 - 1026사태가 일어나는 원인이 되었음. (1979년 부마 항쟁)

 

* 방정환 등이 주축으로 활동하였음. 천도교 소년회, 어린이날 제정(1923)

- 정우회 선언을 계기로 결성(1926, 사회주의 계열의 사상단체) - 한글 맞춤법 통일안을 제정(1930, 조선 어학회 총회)

- 오산 학교와 대성 학교를 설립(안창호, 이승훈, 윤치호 등이 주도, 신민회 설립, 1907)

- 청산리 전투에서 일본군을 격파(김좌진, 북로군정서)

 

* 한국인에게 지원병 제도를 선전하는 일본 관리1938,육군 특별 지원병 제도를 통하여 지원병이라는 명목으로 조선인에 대한 병력동원을 실시. 1930년대 후반민족말살정책과 황민화 정책을 추진. 그 핵심 정책이 193912월 공포된 창씨개명령.

- 별무반에 편성되어 훈련받는 군인(고려 숙종, 윤관) - 공명첩(명예 관직 사령장, 조선 시대, 임진왜란)을 발급받는 농민

- 만민 공동회에서 연설하는시전 상인(1898, 민중 대회) - 경부 고속 국도(도로) 개통식에 참가하는 시민(박정희 정부, 1970)

 

(2022 수능)

* 신간회(1927): 정우회 선언(1926)을 계기로 결성되었음. 광주 학생 항일 운동 당시에 진상 조사단을 파견)

- 을미사변에 반발하여 조직(을미의병, 1895)- 러시아의 절영도 조차 요구를 저지(독립협회의 만민 공동회, 1898)

- 국채 보상 운동을 주도(국채 보상 기성회, 1907) - 조선 건국 준비 위원회를 발족(여운형, 1945)

 

* 윌슨 대통령이 민족 자결주의를 제창, 도쿄에서 유학생들이 28 독립 선언을 발표. 3·1 민족 운동(1919. 조선 고종의 죽음. 민족 대표 33인의 명의로 발표된 독립 선언서. 한국 최대 규모의 독립운동)

- 제주 43 사건(1947~ 1954)이 발생 - 반민족 행위 특별 조사 위원회((1948~ 1949)가 조직

 

* 1910년대의 무단통치: 제복을 입고 칼을 찬 교원. 회사령(1910,회사의 설립, 운영, 해산 등에 관한 규정)

- 만적과 봉기를 모의하는 노비(고려 무신 정권 : 1170~1270)

- 쌍성총관부(1258(고종)에 원나라가 설치한 통치기구) 공격에 동원되는 병사

- 통리기무아문(1880(조선 고종), 외교와 통상, 군국과 변정을 담당하는 기구)에서 근무하는 관리

- 510 총선거(1948)에서 투표권을 행사하는 여성

 

* 한국광복군(1940, 태평양 전쟁 당시 미국 전략 정보국(OSS)과 연계하여 국내 진공 작전을 추진) : 인도미얀마 전선에 투입되었음.

- 위화도 회군을 단행(고려 말 이성계) - 대마도(쓰시마섬)를 정벌(조선 세종 때 이종무)

- 황토현 전투에서 승리(동학 농민군, 1894) - 인천 상륙 작전(1950, 맥아더)을 전개

현대사 : 4문제

 

(2024 수능)

* 우리나라 역사상 최초의 보통 선거(19485·10 총선거) 제헌 국회 의원을 선출.

- 우리나라 역사상 최초의 보통 선거(19485·10 총선거) 발췌 개헌(1952, 이승만 정부) 통일 주체 국민 회의(1972, 박정희 정부)

 

* 3·15 부정 선거(1960)4·19 혁명 이승만 대통령 하야 내각책임제를 골자로 하는 개헌의 계기가 됨.

- 31 민주 구국 선언을 발표(1976, 박정희 정부) 신군부 세력의 권력 장악에 저항

(19805·18 광주 민주화 운동) 413 호헌 조치(1987, 전두환 정부)의 철폐를 주장

 

* 8·15(1945) 6·25(1950) 5·16 군사 정변(1961) 19727·4 남북 공동 성명 발표(박정희 정부) 유신 헌법 공포 (19721017, 박정희 정부) ·북한 유엔 동시 가입(1991, 노태우 정부) 6·15 남북 공동 선언 (2000, 김대중 정부)

 

* 김영삼 정부의 경제 정책 : 경제 협력 개발 기구(OECD)에 가입(1996, 금융 실명제 단행, 지방 자치제의 완전한 실시)

- 유상 매입, 유상 분배의 농지 개혁법을 제정(1949, 이승만 정부) 경부 고속 국도(도로)를 개통(1970, 박정희 정부)

 

(2023 수능)

* 광복 직후 모스크바 삼상회의(194512) 1차 미소공동위원회(19463) 개회5·10 총선거 실시 (1948510)

- 인천 상륙 작전(19509)발췌개헌안 통과(19527)

 

* 3·15 부정 선거(1960) 시위(김주열) 4·19 혁명 이승만 대통령 하야 내각책임제를 골자로 하는 개헌의 계기가 됨.

- 한반도 신탁 통치 결정에 반대(194512월 모스크바 3상 회의의 결과가 알려지자 신탁 통치에 반대)좌우 합작 위원회가 주도

(1946년 여운형, 김규식)신군부 세력의 권력 장악에 저항(1980518 광주항쟁)

629 민주화 선언이 발표되는 결과를 가져옴(19876·29 민주화 선언은 시민들의 직선제 요구를 수용한 것)

 

* 대한민국 제8대 대통령 선거(1대 통일 주체 국민회의 대의원 선거 투표, 197212, 박정희 정부)

3·1 민주구국선언이 발표(19763, 박정희 정부)

- 제주 43사건이 발생(19473~ 19549) 반민족 행위 처벌법이 제정(19489)금융 실명제가 전면 실시

(김영삼 정부, 1993),경제 협력 개발 기구(OECD) 가입(김영삼 정부, 1996)

 

* 남북협상(1948) 625 전쟁 발발(1950) 516 군사 정변(1961) 74 남북 공동 성명 발표(1972)

남북한 유엔 동시 가입(노태우 정부, 1991) 6·15 남북 정상회담(2000, 김대중 정부)

10·4 남북공동선언(남북관계, 발전과 평화번영을 위한 선언) 채택(2007, 노무현 정부)

 

(2022 수능)

* 3·15 부정 선거(1960)에 항의하여 일어남4·19 혁명 이승만 대통령 하야 내각책임제 개헌안 국회 통과

- 전태일의 분신 사건이 계기가 되었음(박정희 정부, 1970) 유신 헌법의 철폐를 주장(박정희 정부, 1972)

신군부 세력의 권력 장악에 반대(1980) 413 호헌 조치에 저항(전두환 정부, 1987)

 

* 1차 미소공동위원회 개최(민주주의 임시 정부 수립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미국은 한반도 문제를 유엔으로 이관할 것을 제안, 1946)

 

* 판문점에서 정전 협정이 조인(이승만 정부, 1953) 일 국교 정상화 회담이 개최(박정희 정부, 1965)

통일 주체 국민회의 설치, 7·4 남북 공동 성명 발표(박정희 정부, 1972) 서울 올림픽(노태우 정부, 1988)

199064일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노태우 대통령과 고르바초프 소련 대통령 간의 역사적인 정상 회담 남북한이 유엔에 동시 가입(노태우 정부, 1991) 남북 정상 회담(김대중 정부, 2000)